2025년 통학로 불법 차량 신고하는 법



“아이 등하굣길에 차들이 줄지어 주차돼 있어요.”


이런 상황, 하루 이틀 일이 아니죠. 특히 **어린이 보호구역** 내 통학로에 불법 주차된 차량은 아이들의 시야를 가리고, 사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입니다.
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바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통학로 불법 차량을 안전신문고로 신고하는 정확한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

안전신문고 바로가기

왜 통학로 불법주차가 위험할까?

아이들의 눈높이에서는 주차된 차량 하나가 **치명적인 사각지대**가 됩니다. 운전자가 아이를 보지 못하고, 아이도 차량을 보지 못한 채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•  횡단보도 앞 주차: 아이 시야 차단
  •  어린이 보호구역 진입로에 정차: 과속 방지 무용지물
  •  이중주차: 등하교 시 통학버스 정차 불가능

※이런 차량은 단순 민폐를 넘어서 **법적으로 즉시 신고 및 과태료 부과 대상**입니다.

신고 전 체크! 이렇게 준비하세요

안전신문고를 통해 신고가 가능한 차량 유형은 다음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.

  •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
  • 횡단보도 앞·뒤 10m 이내 주차
  • 통학버스 승하차 구역을 막고 있는 차량

신고를 위해서는 다음 3가지가 필수

  1. 사진 2장: 차량 번호와 위치가 식별되고, 1분 간격으로 촬영
  2. 위치정보 포함 GPS ON
  3. 촬영 시간차 확인 가능한 파일 메타데이터

안전신문고 앱으로 통학로 불법차량 신고하기

안전신문고 앱 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 앱 실행 → 로그인 (간편 인증 가능)
  2. ‘불법주정차 신고’ 메뉴 선택
  3. 신고 유형: '어린이보호구역 불법주정차'
  4. 사진 2장 첨부 (차량 번호, 위치 식별 필수)
  5. 위치 자동입력 → 신고 사유 선택 → 전송

※신고 접수 후에는 문자 또는 앱 내 알림으로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.

실제 통학로 신고 사례

  •  **초등학교 앞 이중주차 차량 신고** → 과태료 120,000원 부과
  •  **횡단보도 위 정차한 SUV 신고** → 즉시 단속 후 견인 조치
  •  **통학버스 하차장 막은 화물차 신고** → 행정처분 + 견인

※통학로 관련 민원은 행정기관에서도 우선순위로 처리하고 있어요. 적극적인 시민의 참여가 곧 아이들의 안전을 지키는 길입니다.

이런 경우는 주의!

  •  단순 주택가 골목은 통학로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음
  •  학교 근처라도 보호구역 표지판이 없으면 일반 지역 처리
  •  차량 앞 유치원차, 학원차도 장시간 주차 시 신고 가능
  • 반복 민원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**주관적인 감정 표현 없이 신고**

과태료와 행정처분 기준

위반 위치 과태료 (승용) 과태료 (승합)
어린이 보호구역 불법주정차 120,000원 130,000원
횡단보도 앞 정차 80,000원 90,000원
통학로 차량 진입 금지 위반 100,000원 110,000원

※반복 위반 시 견인, 운전면허 벌점 부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함께 보면 좋은 글

불법 차량을 방치하지 말고, 안전신문고로 바로 신고하세요.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관심이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듭니다.

우리 아이의 등하교길, 직접 지킬 수 있습니다.

다음 이전